안녕하세요, 하마연구소 입니다.
블랙홀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처음으로 발견되었다네요.
지구에서 거리가 5천5백만 광년 거리에 있다니, 얼마나 먼지 전혀 감이 않오네요.
빛의 속도로 5500만년 떨어져 있는것을 어떻게 촬영한 것일까?
정말 신기하고 대단하네요.
무엇보다 지금으로부터 104년전인 1915년에 제시된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 이번 블랙홀 관측으로 입증되었다고 합니다.
아인슈타인도 대단합니다.
![하마연구소 - [뉴스] 인류가 최초로 관측한 블랙홀 모습 | 2 1](https://img1.daumcdn.net/thumb/S1200x630/?fname=https://t1.daumcdn.net/news/201904/10/dongascience/20190410221158391xels.png)
인류가 최초로 관측한 블랙홀 모습
인류가 ‘블랙홀’의 핵심부를 영상으로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아인슈타인이 1915년 일반상대성이론을 제시하면서 처음 개념이 등장한 블랙홀의 존재를 직접적인 증거를 통해 눈으로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를 이끈 쉐퍼드 도엘레만 미국 하버드 스미스소니안 천체물리센터 교수는 벨기에 브뤼셀에서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인류에게 최초로 블랙홀의 모습을
참고로 아래는 블랙홀이 무엇인지 설명한 기사입니다.
![하마연구소 - [뉴스] 인류가 최초로 관측한 블랙홀 모습 | 4 3](https://img1.daumcdn.net/thumb/S1200x630/?fname=https://t1.daumcdn.net/news/201904/10/dongascience/20190410221357749cggf.jpg)
[블랙홀 첫 관측]블랙홀이란 무엇인가
유럽남방천문대(ESO)가 10일 오후 10시 ‘사건의 지평선 망원경(EHT)’ 프로젝트의 첫 관측 결과를 발표했다. 천재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15년 일반상대성이론에서 빛에 중력이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예고하며 블랙홀의 존재 가능성을 보인 지 100년이 넘어서야 첫 이미지가 공개되는 것이다. 블랙홀은 관측이 어렵다 보니 여전히 베일에 가려져
또한, 위키에 정리된 블랙홀과 일반상대성일론 설명입니다.
- Wikipedia 블랙홀: https://ko.wikipedia.org/wiki/블랙홀
![하마연구소 - [뉴스] 인류가 최초로 관측한 블랙홀 모습 | 6 5](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c/cf/Black_hole_-_Messier_87.jpg/1200px-Black_hole_-_Messier_87.jpg)
블랙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블랙홀(영어: black hole, 黑洞)[4]은 중성자 별이 되지 못한 항성이 진화의 최종단계에서 폭발 후 수축되어 생성된 것으로 추측되는, 강력한 밀도와 중력으로 전자기 복사, 빛을 포함한 그 무엇도 빠져나올 수 없는 시공간 영역이다.[5] 일반 상대성이론은 충분히 밀집된 질량이 시공을 뒤틀어 블랙홀을 형성할 수 있음을 예측한다.[6][7] 블랙홀로부터의 탈출이 불가능해지는 경계를 사건의 지평선(event horizon)이라고 한다. 어떤 물체가 사건의 지평선을 넘어갈 경우, 그 물체에게는 파멸적 영향이 가해지겠지만, 바깥 관찰자에게는 속도가 점점 느려져 그 경계에 영원히 닿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블랙홀은 빛을 반사하지 않기에 이상적 흑체처럼 행동한다.[8][9] 또한 휘어진 시공간의 양자장론에 따르면 사건의 지평선은 블랙홀의 질량에 반비례하는 온도를 가진 흑체 같은 스펙트럼의 열복사를 방출하며, 이를 호킹 복사라고 한다. 항성질량급 블랙홀의 경우 이 온도가 수십억분의 1 켈빈 수준이기에 그 열복사를 관측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불가능하다.
- Wikipedia 일반상대성이론: https://ko.wikipedia.org/wiki/일반_상대성이론
감사합니다.